본문 바로가기
기업(종목) 정리

[기업분석] "나스미디어" 알아보기

by 시나브로가온 2023. 12. 20.
728x90
반응형

[이 글은 경제·산업·기업 등을 공부하면서 알게 된 여러 내용을 제 나름대로 요약·정리하며 쓴 글입니다.
맨 아래에 자료 출처를 표기해 두었으니 더 자세히 알고자 하시는 분은 아래 자료출처를 참고하여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
문제가 있는 부분을 알려주시면 수정 혹은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 

 

 

 

 

[간단요약]

1. 광고회사다.

2. 광고업을 하다보니 경기와 연관되어 있다.

3. 경기와 관련되어서 매수매도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4. 지금이 투자하기 좋은 시점으로 보인다. 

 

 

[기업정보]

*디스플레이 광고를 중심으로 한 PC 및 모바일, 디지털방송광고(IPTV), 디지털옥외광고 매체판매업을 사업으로 하고 있는 기업.

*디지털 미디어 광고회사로 광고매체 판매 대행 수수료가 주 수익원.

-광고 대행사 대상의 광고영업 및 광고효과 분석 서비스, 매체사 대상의 광고 매체 판매 대행 서비스가 공존함으로써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

*2022년 10월 국내에서 독점적인 넷플릭스 미디어렙사로 선정되어 국내 최초로 글로벌 OTT 광고요금제 운영 레퍼런스를 보유해 OTT 광고 시장에서 선도적인 시장 지위를 확보함.

-OTT 광고는 콘텐츠 장르별/인기 순, 가입자 연령/성/지역별 타겟 광고가 가능해 타겟팅 능력에 따른 광고 효과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는 나스미디어의 강점이 될 것.

*KT가 2008년 지분 50%를 인수하면서 KT그룹사로 편입됨.

*자회사로 "플레이디"가 있음.

-플레이디는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전략/기획부터 제작, 운영, 성과 측정 등 광고의 전과정을 담당하는 디지털 광고 대행사.

자료출처: 나스미디어 반기보고서
자료출처: 나스미디어 반기보고서
자료출처: 나스미디어 반기보고서

 

 

[주요사업 및 생산제품]

1. 디지털 광고

*나스미디어의 매출의 71.5%를 차지하고 있음.

*미디어렙(Media Rep)

-Media + Representative

-광고매체 판매 대행업을 의미.

-광고 매체들을 대신해 광고 지면 등을 위탁판매하고 수수료를 수취하며, 최근 매체 기획과 운영, 광고효과 측정 및 솔루션 제공까지 범위가 확대됨.

-주요 매체사: 구글, 네이버, 메타, 카카오 등이 있음.

*집행 광고 종류: DA(배너 등 Display AD), 디지털 방송광고(IPTV), 디지털 옥외광고(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있음.

(1)DA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 접점에서 개인화된 광고메시지를 전달함.

*구글, 메타와 파트너를 맺음.

(2)디지털 방송광고

*IPTV VOD 광고는 VOD 시청 직전에 노출되는 광고로 최대 3개의 광고만 노출되어 광고 주목도가 높음.

*카테고리, 지역, 요일, 관심사 등 정교한 타깃팅 집행이 가능함.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3)디지털 옥외광고

①교통 광고

*수도권 시민의 생활동선과 밀접하게 연결된 대중교통 매체.

*서울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디지털 매체, 지하철 6호선, 신분당선, 버스 쉘터 등에 광고를 게재함.

②핫스팟 광고

*위치적 특성이 경쟁력이 되는 매체로 랜드마크 효과가 뛰어남.

*수원KT위즈파크, 강남대로 대형전광판, 현대백화점 그룹 전광판 등에 광고를 노출시킴.

③네트워크형 광고

*전국에 아파트 및 빌라 엘리베이터, GS25 편의점 외부 등에서 광고를 노출시킴.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반응형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2. 플랫폼 부문

*2010년대 모바일광고 시장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광고 플랫폼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함.

*admixer, adpacker, Nswitch·Nbridge·Nstation 등 5가지 솔루션을 보유함.

(1)admixer(애드믹서)

*RTB(Real-Time Bidding, 실시간 입찰) 기반으로 광고 지면을 거래할 수 있는 글로벌 Ad Exchange.

*광고주와 매체사를 연결해 최적의 가격에 거래되도록 하는 플랫폼.

(2)adpacker

*RTB 기반 솔루션으로 광고주가 광고 지면을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는 DSP(Demand-Side Platform) 플랫폼.

*광고주가 광고 캠페인 관리, 입찰 및 게재 용도로 사용해 OS/시간/성별/연령/기기/통신사 등 다양한 타겟팅 옵션을 제공함.

(3)Nswitch·Nbridge·Nstation

*퍼포먼스 광고 플랫폼으로 CPI, CPE, CPS 등의 방식으로 각각 앱/웹 광고, 오퍼월 광고, 쇼핑 광고의 광고 효율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제공함.

①Nswitch

*국내 최대의 성과보장형 앱/웹 마케팅 플랫폼.

*PRE-REG/CPI/CPA 성과형 광고 통합 집행이 가능.

②Nbridge

*오퍼월 방식의 리워드 광고 집행.

*오디언스 타겟팅을 통해 참여 사용자 맞춤형이 가능한 리워드 전문 광고 플랫폼.

③Nstation

*AI 기반 쇼핑 전문 CPS 광고 플랫폼.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4)K-Deal

*KT 통신사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폐쇄형 쇼핑몰.

*고객 행동 패턴 분석 기반으로 초개인화된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및 사업을 진행.

*매출 발생 시 취급고의 일정 부분을 수수료 매철 형태로 인식. 수수료율은 7~8%로 추정.

*향후 KT 그룹 내 B2C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까지 고객군 확대 기대감도 존재.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출처]

1. 나스미디어 반기보고서 2023.08.14.

2. 나스미디어 한국IR협의회 보고서 2023.12.14

3. 나스미디어 홈페이지 나스미디어 - NASMEDIA

 

나스미디어 - NASMEDIA

NO.1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컴퍼니, 통합 미디어 플래닝, 애드테크 플랫폼 사업, 글로벌 마케팅

www.nasmedia.co.kr

 

 

[참고자료]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개인해석]

먼저 나스미디어의 실적이 올해는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내년부터는 또 좋아지는 모습의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실적 영향인지는 모르겠으나 주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최근 약간의 반등을 한 상태로, PBR 밴드 상에 하단에 위치해 있어 저평가 국면으로 들어와 있습니다.

광고라는 업종이 확실히 경기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 같습니다. 그렇다면 경기가 불황이고 실적이 감소하여 PBR밴드로 하단에 위치해 저평가가 되었을 때 매수하고 기다리다가 경기가 호황이 되고 실적이 많이 상승하면서 PBR 밴드로 상단에 위치하면 그 때 매도하는 방식의 투자방식이 가장 좋을 듯 싶어요. 그렇다면 요즘에는 모아가는 단계가 적절할 것 같습니다.

나스미디어는 배당주로 보기에는 배당이 있으나 많지는 않아서 저는 배당주로 생각하면서 투자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어쩌면 나스미디어야 말로 지금이 투자의 적기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수익이 제대로 안된다면 얼마 되지는 않으나 배당을 받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기업들을 제 나름대로 공부하면서 그 공부한 것을 정리하는 사람입니다.
저는 한 사람의 투자자일뿐, 투자 전문가가 아닐 뿐더러 기업분석 전문가도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이 해야하며, 그 책임 또한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