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금융용어7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6 16편은 '속물효과(스놉효과)'부터 '스무딩오퍼레이션'까지입니다. 요즘에 일이 많아져서 올리려고 하는 글들을 다 못쓰고 놓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ㅠㅠ. 그래도 최대한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16편정도 오니까 이제는 이전부터 계속 나왔던 여러 용어들이 지속적으로 나오더라구요. 그래도 복습한다는 생각을 하며 계속해서 올리겠습니다. [속물효과(스놉효과)]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이상이 입지 않는 현상. 보통 명품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남.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값이 오르면 오히려 수요가 늘어남. *1950년 레이번슈타인.. 2023. 10. 13.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5 5편은 '기저효과'부터 '고통지수'까지 입니다. 그동안 뉴스를 보다보면 많이 나오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기저효과, 소비자물가지수 CPI 등이 있죠. 애매하게 라도 어느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기저효과]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 -호황기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임. -불황기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음. *경제지표를 보다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준시점에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는지 살펴보고, 그로 인해 비교시점의 지.. 2023. 7. 21.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4 4편은 GDP라고 부르는 '국내총생산'부터 '기본자본'이라고 부르는 Tier1까지 입니다. 그동안 뉴스를 보다보면 많이 나오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GDP, 기대인플레이션, 금융통화위원회, 시스템 리스크 등이 있죠. 애매하게 라도 어느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지급되는 소득도 포함. *가격 적용방법에 따라 명목GDP와 실질GDP로 구분됨. -명목GDP: 국가경제의 규모나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됨. -실.. 2023. 7. 14.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3 3편은 '고통지수'부터 '국가경쟁력지수'까지 입니다.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종종 나오는 단어들, 경제뉴스나 유튜브 등을 보다가 종종 나오는 내용들로 정리했습니다. 단어는 의미와 특징 등을 알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기 때문에 알면 좋은 부분을 빨강, 파랑, 형광색 등을 이용해 표시해 두었습니다. [고통지수]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착안해 만든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고통지수 = 소비자물가상승률 + 실업률. *고통지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 *나라 간 단순 비교가 어려운 측면이 있음. -나라별로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고 빈부격차나 조사 대상에 따라 느끼는 고통의 정.. 2023. 7.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