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인플레이션4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8 18편은 '신용평가제'부터 '실질임금'까지입니다. 18편은 이전에 했던 것들이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 [신용평가제도] *자금을 빌리는 차입자, 즉 가계 기업 등의 부채 상환능력이나 신용도를 일정한 등급으로 평가하는 것. *기업이 증권을 발행할 때 신용평가회사가 기업의 신용을 평가해주는 것과 은행 등 금융이관이 고객에게 대출을 해 줄때 개인 등의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제도가 있음. *신용평가회사(CRAs; Credit Ratings Agencies)는 채권을 발행하려는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재무상황 경제적 역건 등을 감안해 증권발행자의 신용도를 등급으로 제시함. -신용평가회사는 1800년대 미국에서 채무자의 신용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 -1990년대 들어 신용평가는 투자자에 대한 자료제공 이외에 금융기관이 등.. 2023. 10. 27.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5 15편은 '서킷브레이커'부터 '소비자심리지수'까지입니다. 지난주에는 추석 연휴라 올리지 않고 이번주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서킷브레이커] *과열된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안전장치에서 유래된 용어.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급등락 시 주식거래를 일시정지시켜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 *우리나라 한국거래소에서는 주식시장의 대표지수인 종합주가지수 또는 코스닥지수의 하락폭 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해 서킷브레이크(시장 일시중단제)를 시행하고 있음. -전일 대비 8%, 15%, 20% 이상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주가지수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한 경우 1단계 매매거래 중단이 발동. -1단계 발동 이후 주가지수가 전일대비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2023. 10. 6.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9 9편은 '디스인플레이션'부터 'MMF'까지입니다. 최근 유튜브나 신문에 자주 나오는 여러 단어들이 이번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에 경제와 관련해서 공부하다 보면 매크로와 관련해서 뉴스에 나왔던 디스인플레이션, 채권과도 관련된 만기수익률 등도 있습니다. 애매하게 라도 어느 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셔서 확실하게 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은 둔화되는 현상. *단기간에 그치면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님. -예로 에너지가격 하락이나 생산성 증대 등 공급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경제에 이로움. *디스인플레이션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미뤄 수요 위축을 초래해 디플레이션 압력을 보.. 2023. 8. 18.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4 4편은 GDP라고 부르는 '국내총생산'부터 '기본자본'이라고 부르는 Tier1까지 입니다. 그동안 뉴스를 보다보면 많이 나오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GDP, 기대인플레이션, 금융통화위원회, 시스템 리스크 등이 있죠. 애매하게 라도 어느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지급되는 소득도 포함. *가격 적용방법에 따라 명목GDP와 실질GDP로 구분됨. -명목GDP: 국가경제의 규모나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됨. -실.. 2023. 7.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