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물가4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5 15편은 '서킷브레이커'부터 '소비자심리지수'까지입니다. 지난주에는 추석 연휴라 올리지 않고 이번주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서킷브레이커] *과열된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안전장치에서 유래된 용어.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급등락 시 주식거래를 일시정지시켜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 *우리나라 한국거래소에서는 주식시장의 대표지수인 종합주가지수 또는 코스닥지수의 하락폭 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해 서킷브레이크(시장 일시중단제)를 시행하고 있음. -전일 대비 8%, 15%, 20% 이상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주가지수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한 경우 1단계 매매거래 중단이 발동. -1단계 발동 이후 주가지수가 전일대비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2023. 10. 6.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4 14편은 '사회보장제도'부터 '서비스수지'까지입니다. 14편은 13편과 비슷하게 거시 경제를 볼 수 있는 여러 용어들이 많이 있어보입니다. [사회보장제도] *개인이 어떠한 불행을 당하더라도 국가가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사회 불평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등이 대표적. (1)사회보험 -산업재해, 실업, 질병 등으로 인해 소득이 상실되었을 때를 대비한 보험. -산업재해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건강보험이 있음. -이 보험료는 개인과 고용주 또는 국가가 나누어 부담하는데, 소득이 높을수록 부담이 높아짐. (2)공공부조 -비용전부를 국가가 부담하며 생활능력이 없는 사람의 최저한의 생활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 등이 .. 2023. 9. 22.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0 10편은 '명목GDP'부터 '뮤추얼펀드'까지입니다. 최근 유튜브나 신문에 자주 나오는 여러 단어들이 이번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거시경제 관련한 여러 내용들을 보면 명목과 실질을 구분해서 보는 것도 있고, 물가와 관련된 여러 단어도 있습니다. 애매하게 라도 어느 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셔서 확실하게 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명목국내총생산/실질국내총생산] (1)명목국내총생산 (=명목GDP, 경상GDP)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그 생산물이 생산된 기간의 가격을 적용해 계산한 것. *변동분에 최종생산물 수량과 가격변동분이 혼재됨. *경제규모 등의 파악에 이용됨 (2)실질국내총생산 (=실질GDP, 불변가격GDP)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2023. 8. 25.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9 9편은 '디스인플레이션'부터 'MMF'까지입니다. 최근 유튜브나 신문에 자주 나오는 여러 단어들이 이번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에 경제와 관련해서 공부하다 보면 매크로와 관련해서 뉴스에 나왔던 디스인플레이션, 채권과도 관련된 만기수익률 등도 있습니다. 애매하게 라도 어느 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셔서 확실하게 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은 둔화되는 현상. *단기간에 그치면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님. -예로 에너지가격 하락이나 생산성 증대 등 공급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경제에 이로움. *디스인플레이션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미뤄 수요 위축을 초래해 디플레이션 압력을 보.. 2023. 8.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