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종목) 정리

[기업분석] "칩스앤미디어" 알아보기

by 시나브로가온 2025. 4. 7.
728x90
반응형

[이 글은 경제·산업·기업 등을 공부하면서 알게 된 여러 내용을 제 나름대로 요약·정리하며 쓴 글입니다.
맨 아래에 자료 출처를 표기해 두었으니 더 자세히 알고자 하시는 분은 아래 자료출처를 참고하여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
문제가 있는 부분을 알려주시면 수정 혹은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 

 

 

 

[간단요약]

1. 시스템반도체 IP 개발 및 판매를 하는 기업이다.

2. 주력 제품은 비디오 코덱 IP이다.

3. 실적 꾸준하고 차트와 PBR밴드로 하단에 위치해 투자하기 좋은 타이밍으로 보인다.

 

 

[기업정보]

*시스템반도체 설계 자산(IP; 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권 또는 지적재산권) 개발 및 판매를 사업 목적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자산 전문업체.

-반도체 설계자산: 반도체 칩(SoC; System on Chip)에 삽입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으로 '반도체 IP' 또는 'IP'라고 칭함.

-지식재산권: 인간의 지적 창조물 중에서 법으로 보호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에 대해 법이 부여하는 권리.

*주력 제품은 비디오 코덱 IP

-멀티미디어 반도체칩 설계도의 일부로써, 영상 처리를 담당하는 기술.

-인코더(동영상 압축 및 녹화 기능)와 디코더(동영상 압축 해제 및 재생 기능)로 구성됨.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훨씬 작은 용량으로 압축한 뒤(인코더), 이를 전송하고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디코더)을 수행하기에 대중들이 많이 사용하는 비디오, 핸드폰, TV, 자동차 등에서 각종 비디오를 재상하기 위해서 비디오 IP의 데이터 처리가 반드시 필요함.

-초고화질 비디오 처리 기술에 대한 요구가 스마트폰, TV,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자율주행, 영상 보안카메라, 데이터센터, 드론, 로봇, 스포츠캠 등 여러 산업으로 확대되는 중.

-국내외 데이터센터 서버용 GPU(Graphic Por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칩, 엣지 디바이스용 NPU 칩 등 기타 AI칩을 기획하는 고객사에게 비디오코덱 IP를 제공해 인공지능 기술의 조력자 역할을 하고 있음.

-인공지능 IP 중 하나인 슈퍼 레졸루션(SR; Super Resolution) IP를 직접 개발해 2020년부터 라이선스 중.

*매출 형태는 라이선스 매출 인식 이후 로열티 매출 발생의 이중 구조를 가짐.

-라이선스 매출: 멀티미디어 반도체 칩의 동영상 기술을 설계해 고객(주로 팹리스 기업)에게 제공하는 시점에서 인식되는 매출로 동사의 주력 매출 형태. 신규고객 확보 시 매출은 증가함.

-로열티 매출: 당사 IP가 적용된 고객의 반도체 칩이 외부로 판매될 때 수취하는 것으로 각 고객들의 관련 칩 매출과 일정 부분 연동되어 로열티 매출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함.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자료출처: 칩스앤미디어 분기보고서
자료출처: 칩스앤미디어 분기보고서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반응형

 

 

[주요사업]

1. 비디오 코덱 IP

*구성: 인코더, 디코더, 코덱

-코덱: 인코더와 디코더를 합친 것.

-인코더: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해주는 것.

-디코더: 데이터 처리 후 다시 비디오로 보여주는 것.

(1)WAVE6

*데이터센터, 감시카메라, 셋탑박스, 자동차, 드론, AR/MR/VR, 모바일, 홈엔터테인먼트 등에 활용되는 IP.

(2)WAVE5

*안정성을 인정받은 멀티 스탠다드 비디오 코덱 IP 시리즈.

*활용분야: 데이터센터, 감시카메라, 셋탑박스, 자동차, 드론, AR/MR/VR, 모바일, 홈엔터테인먼트 등.

(3)JPEG/CODA/New CODEC

*JPEG 코덱과 다양한 레거시 스탠다드 지원 비디오 코덱 IP.

*활용분야: 카메라, PC서버, 셋탑박스, IoT 등.

 

2. NPU IP

*NPU(Neural Processing Unit, 신경망처리장치): AI 연산 가속에 특화된 ASIC 기반 반도체.

*특정 AI 모델에 최적화된 구조로 설계되기 때문에 저지연 및 저전력으로 연산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TCO(Total Cost of Operation) 절감에 유리함.

*다양한 전방 산업에서 요구되는 AI 기술 사양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경쟁력이 있음.

*활용분야: 모바일, 웨어러블, 드론, IP카메라, 디지털카메라, TV, 셋톱박스, 자동차 등

*2023년 9월 영상 전용 NPU IP인 'CMNP' 개발을 완료함.

-향후 데이터센터 및 온디바이스 AP향 IP 라이선스 매출 확대를 통해 중장기적 신성장동력으로 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

-CMNP: 텍스트 및 이미지를 모두 처리하는 범용 NPU와 달리 영상 처리에 특화된 IP로 ASP(평균판매단가)가 낮고, 저비용/고효율 처리 할 수 있음.

-주요 기능: 고화질 변환(SR; Super Resolution), 잡읍 제고(NR; Noise Reduction), 객체 인식(OD; Object Detection).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참고자료]

출처: 칩스앤미디어 분기보고서
자료출처: 칩스앤미디어 분기보고서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자료출처: 한국IR협의회 보고서

728x90

 

 

[출처]

1.칩스앤미디어 분기보고서 2024.11.13.

2.칩스앤미디어 한국IR협의회 보고서 2025.03.31.

3.칩스앤미디어 홈페이지 (주)칩스앤미디어

 

Chips&Media, Inc.

 

chipsnmedia.com

 

 

[개인해석]

반도체 투자 전략은 안좋을 때 매수, 좋을 때 매도라는 것은 정해진 공식과 같습니다.

그 전에 칩스앤미디어는 IP를 통해 매출을 올리는 기업이고 앞으로 성장성도 있기에 실적 추이도 올랐다 내렸다는 있지만 우상향은 하고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현재 칩스앤미디어는 어떤 상황인지를 보면 아래 주봉차트가 있는데 200주선 부근에서는 매수 타이밍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가 PBR밴드에서도 하단에 위치해 있기에 현재는 매수타이밍으로 보입니다.

여러모로 투자하기에 괜찮은 기업이라고 생각됩니다. 주봉도 굴곡은 있으나 꾸준히 상승하는 기업으로 보이고, 실적도 굴곡은 있으나 올라가는 방향성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트럼프가 관세를 때리면서 주식들이 충격을 받고 있는데 이 상황이 지속되면 미국 또한 경제상황이 안좋아지기에 협상을 할 거라는 예측이 많은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칩스앤미디어도 장기든 단기든 지금은 투자하기 좋은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는 기업들을 제 나름대로 공부하면서 그 공부한 것을 정리하는 사람입니다.
저는 한 사람의 투자자일뿐, 투자 전문가가 아닐 뿐더러 기업분석 전문가도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이 해야하며, 그 책임 또한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