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환사채3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8 18편은 '신용평가제'부터 '실질임금'까지입니다. 18편은 이전에 했던 것들이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 [신용평가제도] *자금을 빌리는 차입자, 즉 가계 기업 등의 부채 상환능력이나 신용도를 일정한 등급으로 평가하는 것. *기업이 증권을 발행할 때 신용평가회사가 기업의 신용을 평가해주는 것과 은행 등 금융이관이 고객에게 대출을 해 줄때 개인 등의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제도가 있음. *신용평가회사(CRAs; Credit Ratings Agencies)는 채권을 발행하려는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재무상황 경제적 역건 등을 감안해 증권발행자의 신용도를 등급으로 제시함. -신용평가회사는 1800년대 미국에서 채무자의 신용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 -1990년대 들어 신용평가는 투자자에 대한 자료제공 이외에 금융기관이 등.. 2023. 10. 27.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6 6편은 '골디락스경제'부터 '기회비용'까지 입니다. 최근 유튜브나 신문에 자주 나오는 여러 단어들이 이번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애매하게 라도 어느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셔서 확실하게 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골디락스경제]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 1. 대안정기 *1980년대 중반이후에서 2007년 금융위기 이전까지 약 20년간 일본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서 산출량, 인플레이션 등 거시변수 등의 변동성이 크게 감소하면서 경제가 안정을 누린 기간. *2004년 미 연준의 버냉키 의장은 대안정기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경제제도, 기술, 사업관행, 경제의 구조적인 특징 변화가 경제의 충격을 흡수하는.. 2023. 7. 28.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3 3편은 '고통지수'부터 '국가경쟁력지수'까지 입니다.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종종 나오는 단어들, 경제뉴스나 유튜브 등을 보다가 종종 나오는 내용들로 정리했습니다. 단어는 의미와 특징 등을 알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기 때문에 알면 좋은 부분을 빨강, 파랑, 형광색 등을 이용해 표시해 두었습니다. [고통지수]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착안해 만든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고통지수 = 소비자물가상승률 + 실업률. *고통지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 *나라 간 단순 비교가 어려운 측면이 있음. -나라별로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고 빈부격차나 조사 대상에 따라 느끼는 고통의 정.. 2023. 7.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