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기자본비율2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22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벌써 22편입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좀 멉니다...이번 편에는 '요소비용' ~ '유동성리스크' 입니다.   [요소비용]*국민소득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시장가격에서 순생산 및 수입세를 공제한 것으로 결국 그 상품을 만드는 데 들어간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인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를 말함.-생산 요소비용을 측정하는 목적은 주로 투입된 생산요소의 생산성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있음.-시장가격: 상품이 시장에서 실제로 거래되고 있는 가격.-생산 및 수입세: 부가가치세나 특별소비세 등과 같이 우리가 상품을 살 때 상품가격에 포함되어 있는 세금.-순생산 및 수입세 =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보조금: 기업이 상품을 만들 때 정부가 그 상품의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생산비용 중 일부.. 2025. 2. 21.
[경제금융용어] '돈의 속성'에서 뽑은 경제금융용어 90선 정리 - 'ㅈ' 1. 자기자본비율 *총자본 중에서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구조 지표.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총자본 × 100 *자기자본은 금융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기업이 장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안정된 자본이므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 재무구조의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2. 자발적 실업 *일할 의사가 있어 고용되기를 원하지만 현재의 임금수준이 낮다고 생각해 스스로 일하지 않는 실업 상태. *완전고용을 가정할 때 경제활동 인구에서 고용된 인구를 뺀 나머지가 자발적 실업. *완전고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완전고용은 경제활동인구 중 현재 주어진 임금수준에서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모두 고용된 상태. 이 때 비자발적 실업은 전혀 존재하지 않음. *완전고용 상태에서도 불가피한 두 가지.. 2023. 5.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