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디플레이션3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17 17편은 '스태그플레이션'부터 '신용창조'까지입니다. 17편은 한때 굉장히 많이 뉴스에서 들리던 스태그플레이션부터 시스템리스크 등 뉴스에서 꽤 보던 단어와 신용경색 등과 같이 자본주의를 공부할 때 자주 나오는 단어들까지 나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실업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증가하는 현상. -국민소득 증가세가 축소되는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스태그내이션(stagnation: 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상승)을 합성한 용어.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상승해서 국민의 경제적 고통은 크게 늘어남.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경기침체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경기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 2023. 10. 20.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9 9편은 '디스인플레이션'부터 'MMF'까지입니다. 최근 유튜브나 신문에 자주 나오는 여러 단어들이 이번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에 경제와 관련해서 공부하다 보면 매크로와 관련해서 뉴스에 나왔던 디스인플레이션, 채권과도 관련된 만기수익률 등도 있습니다. 애매하게 라도 어느 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셔서 확실하게 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은 둔화되는 현상. *단기간에 그치면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님. -예로 에너지가격 하락이나 생산성 증대 등 공급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경제에 이로움. *디스인플레이션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미뤄 수요 위축을 초래해 디플레이션 압력을 보.. 2023. 8. 18.
[경제금융용어] '돈의 속성'에서 뽑은 경제금융용어 90선 정리 - 'ㄴ,ㄷ,ㄹ' 경제금융 용어 지난 글에서는 'ㄱ' 파트를 작성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ㄴ,ㄷ,ㄹ'편 입니다. 이 부분은 생각보다 많이 있지는 않네요. 1. 낙수효과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대기업, 고소득층, 부유층의 소득과 부를 먼저 늘려주게 되면 이들의 소비와 투자 증가를 통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중소기업, 저소득층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주장. *분배와 형평성보다 성장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논리에 근거함. *2015년 IMF는 선진국,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상위소득 20% 계층의 비중이 커질수록 경제성장률이 낮아진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발표해 낙수효과가 현실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함. 2. 단기금융시장 *금융기관,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단기적인 자금수급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 2023. 3.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