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대체재2

[금융문맹탈출] 엮어보는 경제금융용어 - 8 8편은 '대체재'부터 '디레버리징'까지 입니다. 최근 유튜브나 신문에 자주 나오는 여러 단어들이 이번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제와 관련해서 공부하다보면 초반에 나오는 대체재, 보완재 등도 있습니다. 애매하게 라도 어느정도 알고 있던 것들인데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셔서 확실하게 하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대체재] *비슷한 만족을 얻을 수 있어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 *어느 한 제품이 다른 제품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을 때 두 제품은 서로 대체관계에 있다고 함. *두 제품 중 어느 한 제품의 가격상승이 다른 재화의 수요증가를 초래할 때 이 두 제품은 서로 대체관계에 있다고 함. *다만, 사람들의 평군적인 소비행태에 기초한 것이므로 사람에 따라서는 다르게 느낄 수 있음. ex).. 2023. 8. 11.
[경제금융용어] '돈의 속성'에서 뽑은 경제금융용어 90선 정리 - 'ㄴ,ㄷ,ㄹ' 경제금융 용어 지난 글에서는 'ㄱ' 파트를 작성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ㄴ,ㄷ,ㄹ'편 입니다. 이 부분은 생각보다 많이 있지는 않네요. 1. 낙수효과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대기업, 고소득층, 부유층의 소득과 부를 먼저 늘려주게 되면 이들의 소비와 투자 증가를 통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중소기업, 저소득층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주장. *분배와 형평성보다 성장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논리에 근거함. *2015년 IMF는 선진국,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상위소득 20% 계층의 비중이 커질수록 경제성장률이 낮아진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발표해 낙수효과가 현실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함. 2. 단기금융시장 *금융기관,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단기적인 자금수급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 2023. 3. 30.
728x90
반응형